파이썬 Hello world! 출력하기, 주석의 필요성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공부할 때 어김없이 나오는 "Hello world!"출력하기.

파이썬에서 우리가 원하는 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용도가 정해져 있는 단어)는 print이다.

우선 해당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파이썬의 IDLE을 실행한다.

[그림 1 : 파이썬 IDLE 실행 화면]

위 화면에서 "Hello world!"를 출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그림 2 : Hello world! 출력]

위의 화면에서 print("Hello world!") 뒤에 이어서 오는 #print..... 는 주석(comment)으로 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그램의 일부로 인식되지 않고 무시된다. 아무리 파이썬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라 할지라도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 본인 또는 다른 누군가가 구현한 코드를 분석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주석을 달아놓으면 이처럼 시간이 지나서도 코드를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니 주석은 필수로 입력하는 게 좋다. 


print() 괄호 안에 큰따옴표(" ")를 사용해서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 후 출력했는데 작은따옴표(' ')를 입력해도 이전과 동일한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문자열에 큰따옴표(" ")를 출력하고 싶으면 문자열 양쪽에 작은따옴표(' ')를 입력하고 작은따옴표(' ')를 출력하고 싶으면 문자열 양쪽에 큰따옴표(" ")를 입력하면 된다.

[그림 3 : 큰따옴표(" ")와 작은따옴표(' ')의 활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