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함수란?

반응형

만약 코드를 작성하면서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문장이 있고, 이 문장이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 사용된다고 했을 때 그 내용을 매번 입력해야 된다면 불필요한 시간이 낭비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함수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함수는 반복하고자 하는 여러 문장을 하나로 묶어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함수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 함수의 정의]

위의 화면에서 def라는 키워드는 함수를 만든다는 선언이고 fun은 함수의 이름이다. 그리고 콜론(:) 다음 행에 입력된 문장들은 fun이라는 함수가 호출(실행)되면 화면에 출력된다. 다음은 fun이라는 함수를 호출해서 화면에 문장이 출력된 모습이다.

[그림 2 : 함수의 호출(실행)]

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여러 문장을 함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함수 안에 문장뿐만 아니라 연산을 위한 값을 전달할 수도 있고 전달된 값을 바탕으로 산술 연산을 통해 얻은 결괏값을 호출한 영역으로 반환할 수도 있다. 다음은 값을 전달해서 산술 연산을 하고 그 결괏값을 호출한 영역(함수를 실행한 영역)으로 반환하는 내용이다.

[그림 3 : 함수의 활용]

위 그림에서 sum이라는 함수를 만들 때 함수 이름 뒤에 있는 소괄호 안의 a,b는 매개변수라고 한다. 함수를 호출할 때 특정 값을 전달하면 매개변수에 전달한 값이 저장되어 그 매개변수를 원하는 대로 활용할 수가 있다. return 이란 키워드는 함수 내에서 얻어진 결괏값을 호출한 영역으로 되돌려주라는 뜻이다. 함수를 만들고 난 후 i라는 변수를 만들어 방금 만든 sum이라는 함수를 호출하고 x(10), y(11)를 인자로 전달하면 전달된 값은 함수 내부에서 작성된 수식에 따라 계산되고 그 결괏값은 호출한 영역으로 반환되어 i라는 변수에 저장되고 이는 print함수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