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와 인덱싱, 슬라이싱 연산
일반적으로 변수에는 하나의 값이 할당된다. 리스트는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할당하는 자료형인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C언어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를 배열이라 한다. 리스트형 데이터를 만들 때는 대괄호([ ])를 사용하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그림처럼 type() 키워드를 사용하여 number 변수의 자료형이 리스트형 데이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덱싱 연산이란 리스트에 담겨 있는 값을 참조, 수정하기 위해 주소(인덱스 값)를 사용하는 연산이다. 인덱싱 연산으로 데이터 값을 어떻게 참조(값을 꺼냄) 하는지 다음 그림으로 확인해 보자.
위 그림과 같이 n1 변수에는 number 변수의 첫 번째 값인 1이, n2 변수에는 number 변수의 두 번째 값인 2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스트형 데이터는 인덱싱 연산을 통해 값의 수정도 가능하다.
위 그림과 같이 number 변수의 값들이 인덱싱 연산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덱스 값이 -1이면 마지막 값에 접근한다는 것도 참고하도록 하자.
슬라이싱 연산이란 리스트에 속한 값의 일부를 묶어 이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다. 리스트 형태로 저장된 변수에 대괄호([ ])와 콜론(:) 기호를 사용하여 범위를 지정한 뒤 이를 변수에 저장해서 출력하는 연산인데 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그림과 같이 리스트형 데이터가 저장된 number 변수에 속한 값의 일부가 s1~s5 변수에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싱 연산을 통해 리스트에 속한 값의 일부를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정도 가능하다.
위 그림과 같이 리스트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number 변수에 속한 값들이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 파이썬(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리스트의 함수(insert, count, clear) (0) | 2022.01.20 |
---|---|
파이썬 리스트의 함수(append, extend) (0) | 2022.01.11 |
파이썬 반복실행을 명령하는 for 문과 while 문 (0) | 2022.01.11 |
파이썬 조건 설정 키워드(if 문, if ~else 문, if ~ elif ~ else 문) (0) | 2022.01.11 |
파이썬 함수란? (1)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