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튜플

반응형

튜플이란 리스트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값을 묶어서 표현하는 데이터의 형태이다. 튜플을 만들 때는 ( ) 소괄호를 사용하여 만든다. 하나 이상의 값을 묶어 저장할 때는 쉼표를 사용해서 구분해 주는데 1개의 값을 저장할 때는 반드시 쉼표를 포함해 주어야 한다. 쉼표를 포함하지 않으면 int 형 데이터(정수)로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 코드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 튜플]


튜플은 몇 가지 부분만 제외하곤 리스트와 많은 부분이 비슷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리스트는 값의 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하지만 튜플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림 2 :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

위의 예에서와 같이 튜플은 값의 추가, 수정, 삭제는 불가능하지만 인덱싱 연산이나 슬라이싱 연산을 통해 참조(값을 꺼냄)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 코드를 통해 이를 확인해 보자.

[그림 3 : 튜플의 인덱싱, 슬라이싱 연산]


튜플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함수는 len, min, max, count, index 함수 등이 있다.

[그림 4 : 튜플의 함수 사용]

 

반응형

댓글()